요즘 투자자들 사이에서 가장 열기가 뜨거운 종목은 단연 엔비디아입니다. AI 반도체 시장을 석권하며 글로벌 시가총액 1위에 등극한 엔비디아는 2024년에만 200%에 가까운 주가 상승률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직접 해외 주식에 투자하기 쉽지 않고, 특히 연금계좌에서는 더욱 제약이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등장한 TIGER 엔비디아미국채커버드콜밸런스(합성) ETF는 국내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채권혼합형으로 분류되어 연금계좌에서 100% 투자가 가능하면서도 엔비디아의 성장 가능성을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직접 여러 ETF를 비교해본 제 경험으로는 안정성과 성장성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장기 투자의 핵심인데, 이 ETF가 그 균형점을 어떻게 찾아가고 있는지 분석해 보았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TIGER 엔비디아미국채커버드콜밸런스(합성) ETF 배당 분배금 수수료 세금 주가 전망 분석 정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IGER 엔비디아미국채커버드콜밸런스(합성) 기본소개
구분 | 내용 |
---|---|
상품명 | TIGER 엔비디아미국채커버드콜밸런스(합성) |
유형 | 해외혼합형(채권혼합) |
시가총액 | 약 480억원 |
상장주식수 | 5,000,000주 |
52주 최고/최저 | 10,350원 / 9,075원 |
기초지수 | KEDI 엔비디아 미국 30년 국채 타겟 커버드콜 혼합 지수(TR) |
상장일 | 2024년 12월 17일 |
펀드보수 | 연 0.39% |
자산운용사 | 미래에셋자산운용(주) |
지난 2024년 12월 17일에 상장된 TIGER 엔비디아미국채커버드콜밸런스(합성) ETF는 아직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신생 ETF입니다. 약 480억원의 시가총액을 보유하고 있으며, 채권혼합형 ETF로 분류되어 연금자산으로 100% 투자가 가능한 상품입니다.
구성종목 | 비중(%) |
---|---|
원화예금 | 102.09 |
KEDI Nvidia U.S. 30Y Treasury Target Covered Call Balanced Index TRS 241218-08 | 0.08 |
KEDI Nvidia U.S. 30Y Treasury Target Covered Call Balanced Index TRS 241218-07 | -0.39 |
KEDI Nvidia U.S. 30Y Treasury Target Covered Call Balanced Index TRS 241218-06 | -0.54 |
KEDI Nvidia U.S. 30Y Treasury Target Covered Call Balanced Index TRS 241218-05 | -0.62 |
이 ETF는 일반적인 ETF와 달리 실물 자산을 직접 보유하지 않는 합성 ETF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TRS(Total Return Swap) 계약을 통해 기초지수의 성과를 추종하는 방식으로, 원화예금을 담보로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엔비디아 주식과 미국 장기국채의 성과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
TIGER 엔비디아미국채커버드콜밸런스(합성) 운용전략
이 ETF가 추종하는 기초지수는 KEDI 엔비디아 미국 30년 국채 타겟 커버드콜 혼합 지수(TR)입니다. 이 지수는 엔비디아 주식과 미국 30년 국채를 결합한 혼합전략을 구현합니다.
핵심 운용전략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됩니다.
첫째, 일정 비율 자산배분 전략을 활용합니다. 엔비디아 주식과 미국 30년 국채 관련 하위지수를 3:7의 비율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Constant Mix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과거 데이터를 살펴보면 두 자산은 상관관계가 낮거나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경향이 있어 효과적인 분산투자가 가능합니다.
둘째, 선별적인 커버드콜 전략을 구사합니다. 대부분의 커버드콜 ETF는 주식 자산에 커버드콜을 적용하지만, 이 ETF는 미국 30년 국채에만 커버드콜 전략을 적용하고 엔비디아 주식에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이를 통해 엔비디아의 상승 잠재력을 온전히 누리면서도 국채 부분에서 안정적인 인컴 수익을 추구합니다.
셋째, 타겟프리미엄 전략을 활용합니다. 하위지수인 'KEDI 미국 30년 국채 커버드콜 17.14 지수'는 채권 ETF 포트폴리오를 매수하고 TLT ETF 콜옵션을 일부만 매도하는 방식으로 연간 17.14%의 옵션 프리미엄을 목표로 합니다. 위클리 옵션을 활용해 옵션 매도 비중을 평균 40% 수준으로 제한함으로써, 채권 가격이 상승할 경우에도 그 혜택을 일부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전략을 통해 엔비디아의 높은 성장 가능성과 미국 장기국채의 안정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TIGER 엔비디아미국채커버드콜밸런스(합성) 분배금(배당금) 및 세금
배당 주기 | 지급 내역 | 예상 연간 배당률 |
---|---|---|
월배당 | 1월: 101원, 2월: 97원, 3월: 50원 | 약 10.33% |
이 ETF는 매월 배당금을 지급하는 월배당 상품입니다. 매월 마지막 영업일을 지급 기준일로 하여 그 다음 7영업일 이내에 분배금이 지급됩니다.
상장 이후 현재까지 지급된 배당금을 살펴보면, 1월에 101원, 2월에 97원, 3월에 50원이 지급되었습니다. 이 세 달간의 평균 월배당금은 82.67원으로, 이를 연간으로 환산하면 992원이 됩니다. 현재 주가 9,600원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연간 배당수익률은 약 10.33%에 달합니다.
배당금에 대해서는 15.4%의 배당소득세가 원천징수됩니다. 이 ETF는 국내 주식형 ETF가 아니기 때문에 매매차익에 대해서도 배당소득세가 부과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과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분배금 과세: Min(현금분배금, 과표증분) × 15.4%
- 매매차익 과세: Min(매매차익, 과표 증분) × 15.4%
월배당 상품의 특성상 세금이 매월 분산되어 부과되는 효과가 있고, 연금계좌에 편입할 경우 세제혜택까지 누릴 수 있어 세금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TIGER 엔비디아미국채커버드콜밸런스(합성) 수수료(운용보수)
구분 | 비율 |
---|---|
총보수 | 연 0.39% |
- 운용보수 | 0.349% |
- 지정참가회사보수 | 0.001% |
- 신탁보수 | 0.02% |
- 일반사무관리보수 | 0.02% |
이 ETF의 총보수율은 연 0.39%로 책정되어 있으며, 이는 유사한 해외혼합형 ETF들과 비교했을 때 평균적인 수준입니다.
총보수는 운용보수 0.349%, 지정참가회사보수 0.001%, 신탁보수 0.02%, 일반사무관리보수 0.02%로 구성됩니다. 연 0.39%의 비용은 투자자의 실질 수익률에서 차감되는 금액이므로 장기 투자 시 복리 효과를 고려하면 중요한 요소입니다.
제 생각에는 해외 합성 ETF 중에서는 비교적 합리적인 수준의 보수율이라고 판단됩니다. 특히 엔비디아라는 개별 주식과 미국 장기국채, 그리고 커버드콜이라는 복잡한 전략을 구사하는 상품 특성을 고려하면 납득할 만한 수준입니다.
TIGER 엔비디아미국채커버드콜밸런스(합성) 주가 전망
이 ETF의 향후 주가를 전망하기 위해서는 구성 자산인 엔비디아와 미국 30년 국채의 전망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엔비디아는 AI 기술의 핵심 기업으로서 데이터센터 GPU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특히 24년 4분기부터 공급되는 차세대 블랙웰 GPU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매출과 이익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지난 1년간 약 200%라는 가파른 주가 상승을 기록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일부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미국 30년 국채는 금리 인하 사이클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2024년 9월부터 시작된 미국의 금리 인하가 점진적으로 이어진다면, 장기채권 가격은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ETF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ETF의 성과를 살펴보면, 상장 이후 NAV 기준 수익률은 -1.12%로 기초지수(-0.98%)를 소폭 하회하고 있습니다. 이는 신규 상장 후 정착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추적오차로 볼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괴리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보수적인 관점에서 향후 1년간 이 ETF는 7~9% 수준의 총 수익률(배당 포함)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특히 10.33%에 달하는 높은 배당수익률을 고려하면, 주가가 다소 하락하더라도 꾸준한 배당수익을 통해 안정적인 투자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이 ETF는 배당형과 성장형의 특성을 모두 갖춘 하이브리드 상품입니다. 미국 30년 국채의 커버드콜 전략으로 안정적인 월배당을 제공하면서도, 엔비디아의 성장에 따른 가격 상승 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매력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요약정리
구분 | 내용 |
---|---|
상품명 | TIGER 엔비디아미국채커버드콜밸런스(합성) |
시가총액 | 약 480억원 |
기초지수 | KEDI 엔비디아 미국 30년 국채 타겟 커버드콜 혼합 지수(TR) |
실부담비용율 | 연 0.39% |
분배율(배당률) | 약 10.33% |
예상 주가 수익률 | 연 7~9% (배당 포함) |
결론
TIGER 엔비디아미국채커버드콜밸런스(합성) ETF는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엔비디아의 성장성과 미국 30년 국채의 안정성을 결합한 독특한 투자 상품입니다. 이 ETF의 가장 큰 강점은 채권혼합형으로 분류되어 연금계좌에서 100% 투자가 가능하면서도, 월배당과 엔비디아 성장이라는 두 가지 혜택을 모두 누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차별화된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엔비디아의 성장 잠재력은 온전히 유지하면서도 미국 30년 국채에서 안정적인 배당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는 다른 ETF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강점입니다.
물론 합성 ETF 방식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스왑 계약에 따른 거래상대방 위험이 존재하고, 엔비디아 주가가 급락할 경우 ETF 가격도 하락할 수 있다는 위험은 존재합니다. 또한 매매차익에도 세금이 부과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제 분석으로는 이 ETF는 안정적인 배당수익과 성장 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투자자, 특히 연금계좌를 활용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상품입니다. 10%가 넘는 높은 배당수익률과 엔비디아의 성장력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균형 잡힌 투자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TIGER 엔비디아미국채커버드콜밸런스(합성) ETF에 관심 있는 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